VS를 깃허브에 연동

VS를 깃허브에 연동

데탑을 2주에 걸쳐서 이제 조립을 완성했다... 처음하는 조립이라서 헤맨 부분도 있었지만, 오래걸린 이유는 메인보드 초기불량...
아는 형님의 도움을 받아서 조립의 팁을 몇 개받았다. 그 형님이 아니었으면 난 지금쯤 반쯤 정신놓고 아직도 고치고있지 않았을까?
뭔가 2주동안 짜증은 났지만 그래도 재미는 있었고, 다음에 또 조립해보고 싶다.


동기

  1. 집에서는 데탑으로 코딩하고, 밖에서는 노트북으로 코딩하고 싶다. 두 개를 연동해서 어디서든 코딩하고 싶다.

계획

  1. 일단 마소에서 VSTS로 Git을 지원해주는 것같다. 이걸 이용해보면 될 것같다.
  2. 연동이 잘 안되거나 불편하면 그냥 USB나 외장하드에 저장하고 다녀야겠다.

어쩃든간에 어제 하루는 데탑 조립하고 셋팅하는데에 하루를 보냈다. 특히 이번 셋팅에서 신경쓴 부분은 비주얼 스튜디오를 깃허브와 연동하기.
가끔 노트북을 들고 밖에 나가서 코딩하기에 연동을 해보기로 했다.


난관

  1. Git에대한 개념이 아예 없이 VSTS로만 연동할려고 했었다. 당연하지만, VSTS도 Git의 한 종류였고, Git을 사용하는 방법을 몰랐다. 연동하는데 필요한 리포지토리를 몰라서 VSTS는 설치했지만 연동하는데 실패.
    한 바퀴 돌아서 GitHub를 사용하기로 결정. GitBub를 연동하고 난 뒤에 깨달았지만, 굳이 GitHub를 사용할 필요는 없었다. 그냥 VSTS로도 충분히 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을텐데...
  2. 노트북에 GitHub Extension for Visual Studio를 설치하는 도중에 계속 "SignatureDescription could not creadted"라는 오류를 냈다. 찾아보니, 매니페스트 오류라고 하는데, .Net4.5을 설치하면 해결된다고 하더라. 근데 내 노트북은 그 이하였나보더라...결국 닷넷을 설치하는 김에 VS도 2013에서 2017로 업그레이드했다.

과정

기본적인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1. 깃허브에 계정과 프로젝트를 만든다.
  2. 깃허브 프로젝트 HTTPS 주소를 복사
  3. VSTS(Visual Studio Team Service)를 설치한다.
  4. 깃허브와 VS을 연동하기위한 GitHub Extension for Visual Studio을 설치
  5. 비주얼 스튜디오의 팀 탐색기의 설정에서 리포지토리 설정
  6. 원격에서 깃허브의 프로젝트의 HTTPS의 주소를 추가

깃허브에 푸쉬

  1. 팀 탐색기에서 동기화 탭에서 푸쉬 탭에서 저장소를 선택한 뒤에 푸쉬를 클릭! 만약 리포지토리에 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오류가 나오면 SonMan's IT BBS를 참고.

깃허브에서 내 로컬 저장소로 받아오기


7.연결 관리에서 윗 GitHub에 깃허브의 프로젝트 HTTPS를 입력하고 아래의 로컬 Git 리포지트리에는 로컬에 저장된 경로를 입력하고 Clone을 클릭하면 된다.


링크 모음

VSTS
SonMan's IT BBS
Git for Visual Studio
Visual Studio에서 git hub 익히기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와 VS의 연동 문제  (0) 2018.01.23
VS Code로 Markdown 편집하기  (0) 2018.01.23
Command 패턴 (1)  (0) 2018.01.17
Singleton 패턴  (0) 2016.10.22
ProtoType 패턴  (0) 2016.10.15
더보기

댓글,

Lowpoly

게임 서버 프로그래머 지망생